본문 바로가기
이슈

정부, 2022 국가 예산안 편성 (+고용보험 12.5%인상)

728x170

정부가 2022년 국가 예산안을 편성했다.

 

주요 내용은 분야별 예산과 정책 예산 규모다.

 

다양한 복지 정책이 이목을 집중끌고 있지만 국가부채와 

 

고용보험은 12.5% 인상된다.

 

 

정부 2022년 예산안은 아래와 같다.


- 총 604조 4000억원
- 보건 복지 고용분야 : 216조 7000억원
- 일반지방행정분야 : 96조 8000억원
- 교육분야 : 83조 2000억원
- 국방분야 : 55조 2000억원
- 산업 중소기업 에너지분야 : 30조 4000억원
- R&D 분야 : 29조 8000억원
- 농림 수산 식품분야 : 23조 4000억원
- 공공질서  안전분야 : 22조 4000억원
- 외교 통일분야 : 6조원
- 문화 체육 관광분야 : 8조 8000억원
- SOC 분야 : 27조 5000억원
- 환경분야 : 11조 9000억원

 

 

보건·복지, 교육, 국방비, 일반행정, 기업, 에너지, 환경, 등

 

다양한 분야로 엄청난 예산이 책정되었다.

 

그러나, 늘어가는 국가 채무와 국채발행 추이률을 보면 암담한 현실이다.

 

새로운 20·30 다음 세대가 빚을 앉게 된다.

 

 

2022년 정부 예산안에는

 

일자리 지원과 영유아·아동, 청년지원, 경력단절여성, 노인, 군인 등

 

여러가지 혜택들을 눈여겨 볼 수 있다.

 

 

하지만 고용보험 인상률은 12.5% 인상된다.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나라 거덜난다." ,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나라다."

 

"결국 세금", "정권 교체 빚 떠넘기기", "의미없다." 라는 비판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심각한 대한민국 재정위기 상황 (+국가채무1000조,IMF위기)

국가채무가 빠르게 늘어나며 대한민국은 심각한 재정위기 상황에 직면하며 국가채무는 1000조원에 이르게 되었다. 문재인 정부는 5년간 빚 400조가 늘은셈이다. 정부는 31일 발표한 2022년도 예산

popo-popo.tistory.com

 

대출규제 최악의 사태 정부는'대부업' 권장? (+풍선효과)

정부는 금리인상과 함께 1·2금융권 대출 규제와 주택담보대출 규제에 시동을 걸며 기준금리인상과 더불어 부동산 시장에 제동을 걸었다. 이 같은 이유는? 최근 금리인상과 국가부채, 환율급등,

popo-popo.tistory.com

 

미 증시 테이퍼링 사태 잇따른 시각 (+대출 규제,주가 하락)

미 연준의 연내 테이퍼링 가능성이 부각되며 국내 외환시장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이 주목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연내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을 밝히면서 뉴욕증시

popo-popo.tistory.com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