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국민연금 이대로 괜찮을까? 올해 2.5%인상 (+2055년 고갈)

728x170

국민연금 체계가 현재 심각한 위기에 봉착했다.

 

빠른 고령화 속도와 노인빈곤으로 현재 연금체계가 지속 될 경우

 

재정안정성 문제로 인해 1990년대생은 연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국민연금 이대로 괜찮을까 올해 2.5%인상 (+2055년 고갈)

 

현재의 국민연금 체계를 유지할 경우 2055년에 국민연금 수령자격과 예산이 고갈되어

 

만65세 수급개시이 생기는 90년생부터 국민연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것

 

만약 국민연금을 계속 지급하려면 보험료율 급등으로 

 

미래 세대가 과도한 부담을 떠안아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국민연금 재정 운용방식은 부분 적립식이다. 

 

연금 지급은 이른바 확정 급여형으로 운영하고 있다.

 

국민연금제도는 훨씬 적은 돈을 내고도 많은 연금을 탈 수 있는 구조였으나,

 

국가 재정과 고령화 사회로 인해 빠르게 소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국민연금의 기금고갈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한국의 공·사적연금은 노후소득보장 기능을 제대로 해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통계청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0년 기준 한국의 노인빈곤율이 40.4%로 집계되어

 

조사대상 OECD 37개국 중 1위였다고" 밝혔다.

따라서, 국민연금 가입자 100명당 부양해야 할 수급자 수는

 

2020년 19.4명에서 2050년 93.1명으로 약 5배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국민연금 고갈 이유는?

 

고령화사회와 노인빈곤문제 연금체계의 문제점이며

 

현재 국민연금은 평균적인 보험료 수준은 낮지만 

낸 돈에 비해 받아 가는 연금수치가 훨씬 크다 

기금고갈을 걱정할 정도로 수치 불균형이 심각하다.

 

 

 

한편, 2002년 올해 1월부터 국민연금 급여액이 2021년도

 

전국소비자물가변동률을 반영하여 2.5% 인상된다.

 

배우자,자녀,부모 등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부양가족연금액도 2.5% 인상된다.

 

보건복지부는 "'국민연금 재평가율 및 연금액 조정'에 관한

 

고시 개정안을 10일부터 13일까지 행정예고하며

 

1월 중 최종안을 확정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절대 해지하면 안되는 보험BEST5 (+꿀팁)

우리가 살아가면서 필요한 보험 중 절대 해지하면 안되는 보험BEST5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2009년 10월 이전에 가입한 실손 의료비 보험 예를 들어서 현재는 내가 병원에 갔을때 만

popo-popo.tistory.com

 

정부, 2022 국가 예산안 편성 (+고용보험 12.5%인상)

정부가 2022년 국가 예산안을 편성했다. 주요 내용은 분야별 예산과 정책 예산 규모다. 다양한 복지 정책이 이목을 집중끌고 있지만 국가부채와 고용보험은 12.5% 인상된다. 정부 2022년 예산안은

popo-popo.tistory.com

 

내년 4월 전기·가스요금 인상 (+대선직후)

정부 발표에 따르면 내년 4월 전기·가스요금 인상된다. 1분기 전기요금 동결 방침을 밝혔던 정부는 결국 내년 4월부터는 요금 인상을 결정했다. 공교롭게도 2022년 대선 직후 시기다. 한국전력공

popo-popo.tistory.com

 

심각한 대한민국 재정위기 상황 (+국가채무1000조,IMF위기)

국가채무가 빠르게 늘어나며 대한민국은 심각한 재정위기 상황에 직면하며 국가채무는 1000조원에 이르게 되었다. 문재인 정부는 5년간 빚 400조가 늘은셈이다. 정부는 31일 발표한 2022년도 예산

popo-popo.tistory.com

 

[단독] 음식 배달료 기습 인상 만원시대? (+배달대행업체 수수료)

새해를 맞이하며 음식 배달료가 기습 인상 될 전망이다. 배달대행업계에 따르면 "배달 건수 경쟁과 배달대행 수수료" 등을 문제로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수수료 인상과 함께 건당 배달료가 최대

popo-popo.tistory.com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