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등장 소식에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했던 청년들의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대통령 당선인 윤석열 대선 후보시절 내새운 공약에 탄력을 받으며
청년도약계좌 방안이 추진된다.
이에 누리꾼들은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신청 및 가입조건 대상자 등에 화제가 된 것이다.
윤석열 당선인 공약집에 따르면
"재정 유사 제도와의 중복 가입·지원 방지" 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지만
논란이 일자 기존 청년희망적금에 가입자도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청년도약계좌란?
만 19~34세(1987~2003년생)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매달 70만원 한도 안에서
일정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월 최대 40만원을 지원해 10년 만기로 1억원을 만들어주는 계좌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대상자
만 19~34세(1987~2003년생) 일하는 청년이며
소득이 있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본인 판단 하에 주식형·채권형·예금형 중 택1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장기 실직, 질병 등에
의한 장기 휴직, 재해 등의 경우 중도 인출과 재가입이 허용된다.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가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청년도약계좌 지원내용 및 기간
청년도약계좌의 지원 기간은 10년이다.
지원 금액은 최대 5754만원 혜택
월 70만원까지 납입가능
금리 연 3.5%
10년 납입 및 만기시 1억원 적립
다만, 소득에 따라 정부 혜택은 달라진다.
연 소득 2천400만 원 이하의 경우 월 납입액은 최대 30만 원으로 제한되며
월 최대 40만 원까지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연 소득 2천400만~3천600만 원 청년의 경우 납입 한도가 50만 원까지 확대되고,
정부 지원금은 20만 원까지 줄어든다.
연 소득 3천600~4천800만 원의 경우 가입자는 월 최대 60만 원을 납입할 수 있고,
정부 지원금은 최대 10만 원까지다.
연 소득이 4천8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정부 지원금 없이
비과세 및 소득공제 혜택이 주어진다.
가입자 연소득 | 가입자 저축금액 | 정부장려금 |
2,400만원 이하 | 최대 30만원 | 최대 40만원 |
3,600만원 이하 | 최대 50만원 | 최대 20만원 |
4,800만원 이하 | 최대 60만원 | 최대 10만원 |
4,500만원 초과 | 최대 70만원 | 비과세혜택 및 소득공제 |
-청년도약계좌 보다 쉬운 요약본-
2600이하 매달 30만원, 정부지원 20, 저축액 비례 최대 20
2400~3600 매달 50만원, 정부지원 없음, 비례 최대 20
3600~4800 매달 60만원, 정부지원 없음, 비례 최대 10
4800이상 비과세혜택만 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구체적인 시기 미정 추후 공고 예정.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 비교
청년희망적금 혜택이 2년간 최대 45만6000원,
도약계좌는 10년간 5754만원 혜택 차이는 크다.
한편, 재정문제 형평성 논란이 이어지며 정책 금융상품은
정부와 시중은행 간 협의를 거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난항이 예고되며, 시중은행은 일단 구체적인 정책안을 기다리겠다는 입장이다.